다양한 생성형 AI모델
AI를 얼마나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24년 한국리서치 자료가 흥미롭다.
업무에 AI를 활용하고 있다는 대답은 30%, 활용하고 있지 않다는 대답은 70%에 이른다.
AI 활용도가 떨어져 경쟁에서 뒤처질 걱정을 해본 적이 있는가? 에 대한 답변은,
78%가 걱정한다라고 조사되었다.
막상 챗GPT가 출시되었을 때 열광한 기분이 채 가시지 않은 몇 년 사이
이름도 제대로 알기 어려운 많은 생성형 AI 모델들이 그야말로 쏟아져 나오고 있다.
개발에 엄청난 비용 x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았지만,
중국에서 딥시크를 출시하면서 이 불문의 공식은 깨져버렸다.
실제 사용자들이 어떤 모델을 얼마나 현장에서 활용하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미국 뉴욕주는 모든 공립학교에서 챗GPT 사용을 금지했고,
최근 중국 딥시크에 대해 우리나라 교육부도 접속 차단 조치에 나섰다.
학교에서 AI를 쓸까 말까는 여전히 논의 대상이다.
AI 시스템들은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멀티모달 능력과 특정 분야에 특화된 기능이 강화되는 추세다.
더 작고 효율적인 모델들도 계속 개발되고 있어서 더 많은 기기에서 로컬로 실행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주요 AI 모델과 시스템 종류는 다양해서
아이들이 도대체 서로 어떻게 다른 건지 물어보았다.
그래서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통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생성형 AI 특징
우선, 다양한 AI의 특징을 통해 구분해 보면,
- 대규모 언어 모델(LLM)
- ChatGPT (OpenAI)
- Claude (Anthropic)
- Gemini (Google)
- Llama (Meta)
- Mistral (Mistral AI)
- wrtn.(Wrtn Technologies)
- perplexity
- 이미지 생성 AI
- DALL-E (OpenAI)
- Midjourney
- Stable Diffusion
- Imagen (Google)
- 음성 및 오디오 AI
- Whisper (음성 인식)
- Suno, MusicLM (음악 생성)
- ElevenLabs (음성 합성)
- 멀티모달 AI (여러 형태의 입력 처리)
- GPT-4o (텍스트/이미지 입력, 텍스트 출력)
- Claude 3 시리즈 (텍스트/이미지 입력, 텍스트 출력)
- Gemini (텍스트/이미지/오디오 입력, 다양한 형태 출력)
- 특화된 AI 시스템
- GitHub Copilot (코딩 지원)
- Anthropic의 Claude Code (개발자용 도구)
- 법률 문서 분석 AI (Harvey 등)
- 의료 진단 보조 AI
- 임베딩 모델
- 텍스트 데이터를 벡터로 변환하여 검색 및 추천에 활용
- AI 에이전트
- 자율적으로 작업을 완료하는 시스템
- 웹 브라우징, 도구 사용 등 기능 포함
장단점 비교하기
우리가 실제로 가장 많이 쓰고 있는 것은 LLM 기반의 생성형 AI다. 예를 들면 챗GPT 같은 것들이다.
실제로 동일한 명령어를 넣을 때 LLM을 기반으로 하는 생성형 AI들이 내놓는 답변을 보면
장단점을 비교해 볼 수 있다.
물론 이런 장단점은 개인의 목적에 따라 판단하는 경우가 많고,
질문에 따라 답변의 질이 다르다는 점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질문을 다양한 AI에게 동일하게 넣어 보았다.
주요 AI 모델들을 나열하고 각각의 특징을 중심으로 장점과 단점을 비교하여 간략하게 정리해 줘.
우선 이렇게 대표적인 AI만 비교해 보아도 답변의 형식과 내용은 다르게 나온다.
그러니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더욱 어려워 보인다.
1개의 AI를 선택하여 다양한 질문을 던지며 좋은 답을 이끌어 내는 방식도 있고,
선호하는 AI를 2~3개 정도 동시에 사용하면서 답변을 비교해 쓰는 방식도 있을 것이다.
무엇이 되었든 AI가 내놓는 답변을 100% 그대로 쓰는 경우는 여전히 일부 어색한 부분이 남아 있다.
정보를 잘 골라내고 그 정보를 잘 짜깁기 하는 각자의 실력이 중요하겠다.
최근 한 조사에서(와이즈앱) 생성형 AI앱 세대별 사용자 순위를 조사해서 발표했다.
전 연령대에서 단연 1등은 챗 GPT이고,
2위부터는 연령대별로 순위가 달랐다.
20~30대는 '뤼튼'을, 40대~60대 이상은 '에이닷'을 많이 사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러분은 어떤 AI를 선호하시나요?